서울시의회 남창진 의원, 물순환안전국 2026년 예산심의에서 성내천 수변활력거점 대심도 터널 유지관리 예산 점검

서울 / 정충근 기자 / 2025-11-28 10:15:28
성내천 수변활력거점 감리비 비율 1.9%, 공사비 대비 매우 낮아 품질·안전 우려
▲ 서울시 물순환안전국 2026년 예산 예비심사

[뉴스앤톡] 서울특별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에서 의정 활동 중인 남창진 의원(국민의힘, 송파2)은 27일 열린 2026년도 물순환안전국 예산 예비심사에서 성내천 수변활력거점 조성공사 감리비와 신월 빗물저류배수시설 유지관리비에 대해 집중 점검하고 합리적인 방안 마련을 주문했다.

남 의원은 성내천 수변활력거점 조성공사의 공사비가 18억원이고감리비는 3,500만원으로 공사비 대비 1.9% 수준으로 도시고속도로 연결로, 국회대로 지하차도 등 유사 사업의 감리비 비율 4.8% ~ 24.7% 수준에 비해 턱없이 작다며 정상적인 품질·안전 관리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또한 감리비 축소가 현장 안전 및 품질 관리의 부실로 이어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시민 안전과 직결되는 공사인 만큼 감리비의 합리적 조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남 의원은 신월 빗물저류배수시설 유지관리 예산에 대해 분야별로 점검을 하고 강남, 광화문, 도림천 대심도 빗물배수터널의 원조이고 표준이 될 수 있는 시설이므로 합리적인 유지관리 매뉴얼 구축을 주문했다.

첫 번째로는 대심도 빗물터널에 유입되는 빗물을 하천에 방류하지 않고 하수처리장으로 보내는 상하수도 사용료 3,600만원에 대해 유출 지하수 등 재활용 가능한 유량을 구분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합리적 관리 방안 마련, 두 번째는 월 170만원의 예산이 소요되는 잔류수 배제펌프의 가동량과 수방기간 등을 고려한 합리적인 유지관리 방안을 매뉴얼로 만들어 향후 준공하는 대심도 빗물터널에 적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물순환안전국장은 성내천 수변활력거점 조성공사 감리비가 예산 관계로 다소 낮게 책정된 부분은 확인하고 공사관리에 차질이 없도록 대비하겠다고 하며 신월 빗물저류배수시설 유지관리 부분은 부분별 예산을 재검토하고 합리적인 운영방안을 수립하겠다고 답변했다.

[ⓒ 뉴스앤톡.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