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정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모한 ‘지역밀착형 생활SOC 스마트화’와 행정안전부가 공모한 ‘디지털 기반 노후·위험시설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이다.
지역밀착형 생활SOC 스마트화는 수정·중원 원도심의 도서관 인프라를 확충하기 위한 사업으로 오는 11월까지 12억2000만원을 투입한다.
시는 중앙·분당·서현·구미·판교·판교어린이·복정·해오름·수정·중원도서관 등 10곳 도서관에 원격 화상교육 시스템을 구축한다.
지역돌봄센터 70곳과 연결해 돌봄 아동이 도서관을 방문하지 않고 독서토론, 글쓰기 등 다양한 문화교육 강좌에 참여하는 환경을 조성한다.
중원어린이도서관에는 증강현실 뮤지컬 독서문화 프로그램을 도입한다.
스마트기기를 활용해 증강현실 속 동화 주인공이 연기하는 뮤지컬 공연을 관람하고 도서관 독서문화 프로그램과 연계해 책 읽기에 대한 흥미와 교육 효과를 높인다.
디지털 기반 노후·위험시설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에는 오는 12월까지 14억원을 투입한다.
시는 지역 내 낡은 교량·지하차도·육교 등 90곳 공공시설물에 위험 징후를 감지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센서를 설치한다.
시청 시설물 관리부서에서 각 시설물 상태를 3차원 입체영상으로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선제 대응하는 체제가 구축된다.
시설 현장 점검에 따른 비용과 시간 절감, 건물 붕괴와 같은 대형 재난사고 예방 효과를 높인다.
이 외에도 성남시는 자율주행 스마트 도서관, 지능형 교통체계 고도화, 인공지능 민원 안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민 체감형 스마트도시 조성 사업을 추진 중이다.
성남시 관계자는 “스마트도시는 인공지능, 정보통신기술, 빅데이터 같은 첨단 인프라와 기술로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시민에 다양한 도시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시”며 “수정·중원 원도심과 분당·판교지역 간 균형을 이루는 스마트도시를 조성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뉴스앤톡.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