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2022년 식·의약 온라인 불법행위 관리방안 마련

사회 / 정민정 / 2022-02-24 15:38:49
최근 2년간 불법행위 총 15만 5377건 적발, 현황 분석
▲ 식약처, 2022년 식·의약 온라인 불법행위 관리방안 마련
[뉴스앤톡]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최근 온라인 거래가 증가함에 따라 함께 늘고 있는 식·의약 제품 관련 부당광고 등 불법행위 적발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2022년 식·의약 온라인 불법행위 관리방안’을 마련했다.

식약처는 최근 2년간 온라인상에서 이뤄지는 식·의약 관련 불법행위를 총 15만 5,377건 적발했으며 2021년 적발 건수는 2020년에 비해 감소했다.

이는 고의 혹은 반복적으로 불법행위를 저지른 업체에 대한 처분을 강화하고 온라인 위반 여부를 2021년에 더욱 집중적으로 점검한 결과로 분석된다.

지난 2년간 부당광고·불법유통 등 불법행위는 식품 등이 5만 6,502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뒤로 의약품 5만 3,663건, 의료기기 만 1,663건, 마약류 9,673건, 건강기능식품 8,610건, 의약외품 7,980건, 화장품 7,286건 순이다.

식·의약품 온라인 유통 경로 가운데 불법행위는 해외직구가 11만 3,106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국내 제품 3만 8,055건, 정식수입 4,216 순이다.

해외직구에서의 식·의약품 불법행위가 국내 생산·정식수입보다 많이 적발됐다.

온라인 판매플랫폼별로 보면 오픈마켓에서의 불법행위가 6만 5,249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일반쇼핑몰 5만 4,222건, 카페·블로그 2만 5,094건 순이다.

오픈마켓은 2020년 46.4%에서 2021년 34.8%로 감소했으며 카페·블로그는 2020년 14.6%, 2021년 18.7%로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약처는 빠르게 변화하는 온라인 시장환경에 부응하기 위해 지난 2년간의 온라인 식·의약 불법행위의 적발 현황을 분석해 ‘2022년 식·의약 온라인 불법행위 관리방안’을 마련했다.

주요 내용은 불법행위 재발 방지를 위한 모니터링·점검 강화, 건전한 온라인 소비문화 정착을 위한 지원 확대, 식·의약 온라인 안전관리 규제역량 강화이다.

반복적으로 식·의약 온라인 불법행위를 일삼는 위반업체는 수사기관과 공조해 수사 의뢰 등 강력 조치하겠으며 소비자단체·시민감시단과 온라인 모니터링 협력을 강화하는 등 실효성 있는 온라인 안전관리로 불법행위 재발을 방지한다.

온라인 허위·과대 광고와 불법유통을 근절하기 위해 새로운 판매·유통 채널이 건전하게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민간 영역의 자율적인 안전관리 기반을 확충하겠으며 소비자 요구에 맞는 사이버 기획감시를 활성화한다.

건전한 온라인 소비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옳은 라인 캠페인’을 더욱 확대 운영한다.

민간광고검증단의 기능을 확대하고 온라인 식·의약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한 법령개정을 추진한다.

식약처는 소비자가 안심하고 구매할 수 있는 온라인 유통환경을 조성하고 불법행위에 따른 소비자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관계 부처·민간기관과 협업하고 국민과 소통하는 데 최선을 다한다고 전했다.

[ⓒ 뉴스앤톡.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정민정 정민정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