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교육연찬회는 한강홍수통제소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공동으로 개발한 ‘동적수자원평가시스템’을 세계기상기구 회원국에게 알려주기 위해 마련됐다.
아시아지역 수문서비스그룹 의장국인 우리나라는 세계기상기구가 개발도상국 등의 회원국을 위해 ‘동적수자원평가시스템’ 개발을 요청했다.
에 따라 2012년부터 개발에 들어갔다.
이후, 2019년 세계기상기구 누리집에 등재되어 무료로 세계 각국에 제공되고 있으며 그해 서울에서 ‘동적수자원평가시스템’의 공개를 기념하는 국제심포지엄이 열린 바 있다.
‘동적수자원평가시스템’은 프로그램 내에서 사용자가 유역 내 주요지점의 강수량, 일조시간, 풍속 등의 자료를 입력하면, 유출량, 지하 침투량, 증발산량 등을 일 단위로 모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동적수자원평가시스템’을 이용해 국가에 현재 물이 얼마나 있는지, 앞으로 이용할 수 있는 물의 양이 얼마나 되는지를 계산해 효율적으로 수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이번 국제 교육연찬회에서는 국내외 수자원 분야 전문가와 업계, 학계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한다.
영국,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부탄, 아프가니스탄 등 5개 회원국이 ‘동적수자원평가시스템’ 시범 적용 성과를 발표한다.
시범적용은 한강홍수통제소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전문가들이 회원국의 ‘동적수자원평가시스템’ 적용 과정을 원격으로 지원하는 등 사전에 교육 활동이 진행됐다.
정희규 한강홍수통제소장은 “동적수자원평가시스템을 통해 전세계 회원국들이 수자원 관리의 기초를 구축하고 물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도록 계속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 뉴스앤톡.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