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천창수교육감이 26일 집현실에서 열린 교육발전특구 성과관리 연구용역 보고회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사진을 찍고있다 |
[뉴스앤톡] 울산광역시교육청과 울산광역시청은 26일 집현실에서 ‘2025년 교육발전특구 성과관리 연구용역 최종 보고회’를 열고 울산형 교육발전특구 추진 성과와 향후 과제를 논의했다.
이번 보고회는 지자체, 지역대학, 연구 기관과의 협력으로 교육발전특구 시범 사업의 운영 성과를 자세히 점검하고, 2027년에 추진될 새 정부 교육특구 정책에 맞춰 2026년 정식 지정 선정을 준비하고자 마련됐다.
교육발전특구는 지자체, 교육청, 대학, 산업체가 연계해 지역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고 지역 정주 여건을 개선하는 교육부 지정 특구 사업으로, 울산은 지난해 시범지역으로 선정돼 2026년까지 운영된다.
보고회에는 천창수 교육감을 비롯해 이필재 교육국장과 관련 부서장, 울산시청 관계자, 울산대학교 글로컬대학 추진단, 울산연구원 연구진 등 30여 명이 참석해 사업 전반의 성과와 개선 방향을 공유했다.
참석자들은 올해 추진한 사업별 성과 목표 달성 수준을 살펴보고, 울산만의 특화된 교육발전특구 모형을 구축하고자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울산연구원은 이번 연구용역에서 사업별 추진 실적을 분석하고 개선이 필요한 영역과 성과 목표별 성과에 대한 분석 내용을 제시했다.
특히 2027년 새롭게 재편되는 새 정부의 ‘교육특구’ 사업에서 울산이 정식 지정으로 이어가는 데 필요한 전략을 제시했다.
지역 산업구조와 대학 특성을 반영한 신규사업 구상도 함께 발표해 사업의 실효성을 높이는 방안을 논의했다.
이어 참석자들은 사업별 도약 방안, 기관 간 협력 구조 강화, 지역대학 연계 프로그램 확대 등 다양한 제안을 내놓으며 실효성 중심의 운영 방향을 모색했다.
천창수 교육감은 “이번 최종 보고회에서 제시된 성과와 발전 방안을 면밀하게 검토해 교육발전특구 시범 사업에 충실히 반영할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울산시와 지역대학, 산업체와의 협력을 더욱 강화해 교육특구 정식 지정 선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 뉴스앤톡.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