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산불 위험성 심상치 않다
2000년 이후 1월 산불 발생 위험성 50% 상승
정민정
hyokyung98@naver.com | 2022-01-06 13:15:56
지난 60년간의 기상관측 자료를 활용해, 20년 단위로 산불 기상지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봄?가을철의 산불 발생 위험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1월 산불위험도의 증가 폭이 가장 두드려졌다.
산불 기상지수 : 습도, 온도, 풍속, 강수량을 활용 점수화 특히 2000년 이후에는 1월의 산불 기상지수가 약 2~4 정도 증가했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산불 발생 위험성이 약 30~50% 높아진 수치이다.
1년 중 1월에 발생한 산불 비율은 1990년대 5.7%에서 2000년대 6.2%로 2010년대에는 7.4%로 높아졌다.
특히 2021년은 전체 산불 중 13%에 해당하는 44건의 산불이 발생했다.
또한, 기상?기후인자를 활용해 올해 1월의 산불 발생위험을 예측?분석한 결과, 높은 해수면 온도, 낮은 상대습도의 영향으로 과거 39년 분석 자료 중 10번째로 위험성이 높았다.
특히 온도가 산불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온도가 1.5℃ 증가하면 산불 기상지수는 8.6% 상승하고 2.0℃가 증가하면 13.5%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월 산불 발생 위험이 높아짐에 따라 매년 2월~5월, 11월~12월 중순까지 지정되었던 산불 조심기간이 더 길어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불?산사태연구과 이창우 과장은 “ 과학적 자료 분석을 근거로 한 ‘기상?기후인자를 활용한 산불 발생위험 중장기 예측’을 통해 산불 발생에 대한 경각심을 주는 한편 산불위험변화 선제적 대응체계 마련으로 산불 관리능력을 향상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 뉴스앤톡.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