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경제 플랫폼 공유수원’, 수원시 최우수 협치정책 선정
염태영 시장, “그동안 뿌린 협치의 씨앗들이 소중한 열매가 돼 돌아와”
정민정
hyokyung98@naver.com | 2021-11-19 16:09:03
수원시가 19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개최한 ‘2021 협치 정책 마켓’ 중 진행한 ‘풀뿌리 협치 대상’에서 ‘공유경제 플랫폼 공유수원’이 대상으로 선정됐다.
민선 5~7기에 추진한 협치 정책 10개를 부서별로 발표한 후 지난 17일까지 진행된 온라인 투표 결과와 심사위원 평가·현장평가단 투표 결과를 합산해 수상 정책을 선정했다.
‘공유경제 플랫폼 공유수원’을 비롯해 수원화성문화제 추진위원회 협치로 꽃피운 다자녀수원휴먼주택 지원 소통박스 수원시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등 5개 정책이 수상했다.
대상을 차지한 ‘공유 수원’은 수원시가 운영하는 ‘공유 서비스’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온라인 공유경제 플랫폼이다.
시민들이 사용할 수 있는 유무형의 자원을 확인할 수 있다.
금상을 받은 ‘수원화성문화제 추진위원회’는 세계문화유산 ‘수원화성’의 가치와 정조대왕의 애민 정신을 알리고 수원화성문화제가 시민과 함께하는 지속가능한 축제로 성장할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구성한 단체다.
‘2021 협치 정책 마켓’은 수원시가 민선 5~7기에 추진한 협치 정책을 되짚어보는 시간이었다.
염태영 시장이 주재한 협치 시정 활성화 방안 정책연구 최종보고회, 시민이 뽑은 풀뿌리 협치 대상, 크라우딩 펀딩 사례 발표회 등 3부로 진행됐다.
‘협치 시정 활성화 방안 정책연구 최종보고회’는 강정모 시민교육콘텐츠연구소장의 협치특강, ‘수원특례시 협치시정 활성화 방안 정책 연구’ 결과 보고 종합토론으로 진행됐다.
‘민·관 협치는 차이를 빚는 예술’을 주제로 특강을 한 강정모 소장은 “민관협치는 민주행정의 정점”이라며 “사회 패러다임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마당놀이적 행정’으로 전환되고 있다”고 말했다.
‘수원특례시 협치시정 활성화 방안 정책 연구’를 보고한 수원시정연구원은 협치시정 활성화 방안으로 정책 간 연계성 확대 다양한 협치 교육, 참여자 풀 관리 공론화 과정 조성 협치 시정을 위한 장·단기 기본계획 등을 제안했다.
염태영 시장은 “협치는 시대적 의제이고 갈수록 복잡·다양해지는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데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라며 “조금 더디고 돌아가는 듯해도, 결과적으로 부작용도 적고 만족도도 높다”고 말했다.
이어 “사람 중심 행정을 지향한 수원시정의 두 축은 자치분권과 민·관 협치”며 “그동안 시정 전반에 뿌린 협치의 씨앗들이 소중한 열매가 돼 돌아오고 있다”고 평가했다.
‘크라우드 펀딩 사례 발표회’에서는 수원시와 수원시지속가능도시재단이 주관한 ‘2021 수원시 크라우드펀딩’ 8개 프로젝트를 소개했다.
수원시지속가능도시재단은 ‘지속가능한 마을공동체’를 만들 아이디어가 있는 관내 마을공동체, 동 단위협의체, 사회적경제조직 등 8개 공동체를 선정해 크라우드펀딩, 일대일 컨설팅, 콘텐츠 제작 등을 지원했다.
10월 한 달 동안 ‘2021 수원시 크라우드펀딩 전용관’에서 크라우드펀딩을 진행했고 총 모금액은 1898만 2600원으로 목표액의 132.74%에 이른다.
[ⓒ 뉴스앤톡.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