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 조사결과 발표
올해부터 통계청과 협업해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일자리 이동통계’ 발표
정민정
hyokyung98@naver.com | 2020-12-28 16:28:37
이번 조사는 전국 일반대학, 교육대학, 산업대학, 전문대학, 각종학교, 기능대학 및 일반대학원의 2019년 2월 및 2018년 8월 졸업자 55만 354명을 대상으로 2019년 12월 31일 기준 취업 및 진학여부와 급여 수준, 취업 준비기간 등 취업 세부정보를 파악했다.
이를 위해 국민건강보험공단, 국세청, 고용노동부, 병무청, 한국산업인력공단 등 공공 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해 조사했다.
또한, 올해부터는 통계청과 협업해 졸업자의 취업 후 1~2년간 일자리 이동 현황 및 경로를 다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일자리 이동통계’도 발표했다.
2019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중 전체 취업자는 32만 3,038명으로 취업대상자 48만 1,599명의 67.1% 수준이며 전년 대비 0.6%p 감소했다.
분야별 취업자 수는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29만 1,929명, 해외취업자 2,853명, 1인 창업자 6,137명, 자유계약자 1만 8,347명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건강보험 직장가입자의 비율은 1.2%p 감소, 개인창작활동종사자 및 자유계약자는 각각 0.1%p 감소했다.
졸업자 중 진학자는 3만 5,800명, 진학률은 6.5%로 전년대비 0.3%p 증가했다.
학제별 취업률은 일반대학 63.3%, 전문대학 70.9%, 일반대학원 79.9% 등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산업대학, 일반대학원은 증가하였지만, 전문대학, 일반대학, 교육대학, 기능대학은 감소했다.
전체 취업률에 비해 공학계열, 의약계열의 취업률은 보다 높게 나타난 반면, 인문계열, 사회계열, 교육계열, 자연계열, 예체능계열은 낮게 나타났다.
전년 대비 의약계열, 예체능계열은 증가하였지만, 인문계열, 사회계열, 교육계열, 공학계열, 자연계열은 감소했다.
수도권 대학 졸업자의 취업률은 68.7%, 비수도권 취업률은 66.0%로 2.7%p의 차이를 보였다.
17개 시도 중에서 서울, 인천, 대전, 울산, 경기, 충남, 전남, 제주는 전체 취업률보다 높은 취업률을 보였고 서울, 울산, 전북, 전남, 제주를 제외한 12개 시도는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졸업자 69.0%, 여성 졸업자 65.2%로 3.8%p 차이를 보였다.
전년 대비 남성과 여성 졸업자 취업률은 모두 감소했으며 남성 취업률의 감소폭이 여성 취업률의 감소폭보다 낮게 나타났다.
2019년 졸업자의 12월 31일 기준 직장 취업자가 약 1년 후 직장 취업자 자격을 유지하는 비율은 80.2%로 전년 대비 1.2%p 증가했다.
일반대학 81.2%, 전문대학 75.3%, 일반대학원 90.8% 등으로 전년대비 산업대학, 각종학교, 기능대학을 제외한 모든 학제에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학계열, 의약계열, 교육계열은 전체 유지취업률 보다 높게 나타난 반면, 인문계열, 사회계열, 자연계열, 예체능계열은 낮게 나타났다.
수도권 81.0%, 비수도권 79.6%로 1.4%p의 차이를 보이며 차이는 전년과 동일했다.
남성 졸업자 83.1%, 여성 졸업자 77.2%로 5.9%p의 차이를 보이며 차이가 전년 대비 0.8%p 감소했다.
2019년 졸업자 중, 상세 정보 확인이 가능한 건강보험 직장가입자의 월 평균소득, 취업 준비기간, 기업·산업유형별 취업자 정보는 다음과 같다.
분석 대상자의 월 평균소득은 259.6만원이며 학부의 월 평균 소득은 241.6만원, 일반대학원의 월 평균 소득은 446.2만원으로 나타났다.
취업 준비기간에 따른 취업자 비중은 졸업 전 취업, 졸업 후 3개월 이내, 6개월, 9개월, 10개월 이상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유형별 취업자의 비중은 중소기업, 비영리법인, 대기업, 중견기업, 공공기관 및 공기업, 국가 및 지방자치 단체,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산업유형별 취업자의 비중은 제조업, 보건·사회복지, 교육, 전문·과학·기술, 도소매, 공공행정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 직장가입 취업자가 1개 이상의 국가기술자격증을 취득한 비율은 49.7%로 공학계열, 자연계열, 사회계열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국가기술자격증을 취득한 취업자 1인당 평균적으로 2개의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공학계열 2.2개, 자연계열 2.1개, 사회계열 1.8개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018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중 12월 31일 기준 건강보험 직장가입자의 취업 후 1년 내 주된 일자리 이동률은 19.1%로 나타났다.
2018년 졸업자의 성별 일자리 이동률은 남성이 17.0%, 여성이 21.2%로 4.2%p의 차이를 보였다.
학제별 이동률은 전문대학 22.5%, 기능대학 19.8%, 산업대학 19.1%, 일반대학 17.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계열별로는 예체능 계열 23.4%, 교육계열 22.9%, 의약계열 22.2%, 자연계열 19.5%, 인문계열 19.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최은옥 교육부 고등교육정책실장은 “코로나19로 인해 청년들의 취업이 더욱 어려운 상황이기에, 교육부는 관계부처 및 대학 등과 적극적으로 협력해 청년들의 취업·진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에 덧붙여, “일부대학에서 취업률 순위를 자체적으로 산출해 신·편입생 모집 홍보에 활용하고 있는데, 취업통계를 대학 홍보에 무분별하게 활용하지 않기를 당부 드린다”고 전했다.
송성헌 통계청 통계데이터허브국장은 “올해 처음 공표하는 ‘이동통계’는 졸업자 정보와 일자리 행정자료를 연계해 대학 졸업 후의 일자리 이동 경로를 작성한 패널 분석형 통계”고 하면서 “새로 개발된 이동통계가 청년층 고용 및 미래일자리 지원정책 수립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결과는 내년 1월 중으로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 누리집에 탑재해 국민들이 손쉽게 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 뉴스앤톡.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