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정체성 담은 새 이름 찾기' 본격화…공공기관 방위식 명칭 재정비
107개 기관 대상 단계별 로드맵 확정… 역사·문화 정체성 강화와 시민 편의 증진 기대
정충근 기자
didgusah5449@naver.com | 2025-11-20 17:00:22
[뉴스앤톡] 인천광역시는 지역 정체성을 확립하고 시민 편의를 높이기 위해 잘못된 방위식(方位式) 명칭을 사용하는 행정기관 및 공공시설 명칭을 재정비하는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시는 올해 1월 착수한 ‘방위개념 행정기관 명칭 재정비 연구 용역’을 지난 9월 12일 완료하고,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단계별 명칭 변경 로드맵을 확정했다. 이는 단순한 행정명칭 교체를 넘어, 인천 고유의 역사·문화적 정체성을 반영한 새로운 명칭 체계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천시는 방위식 명칭을 사용하는 공공기관 총 107개소를 대상으로, 방위의 상이 정도, 변경 기대효과, 변경 주체 및 용이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선도사업과 후속사업으로 구분했다.
우선 대체 명칭이 비교적 명확한 시 소속·산하기관을 선도사업 대상으로 선정하고 행정체제 개편이나 기관 협의 절차가 필요한 경우는 후속사업으로 분류해 관계기관 협의와 주민 의견 수렴 절차를 거쳐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인천시는 관내 주요 공공기관인 북구도서관은 신트리도서관으로, 인천광역시 미추홀도서관은 인천도서관으로 명칭 변경을 완료했으며 인천광역시 교육청 서구도서관에 대한 명칭 변경 절차를 진행 중이다.
올해 하반기에는 서부여성회관과 노인보호전문기관 2개소를 1차 선도사업 기관으로 선정해 명칭 변경 절차에 착수할 예정이다.
특히 서부여성회관의 경우 현재 명칭이 단순히 지역적 위치에 국한되어 여성 관련 교육 문화기능을 종합적으로 수행하는 거점 기관의 성격과 기능을 충분히 담아내지 못한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이에 인천시는 주민 의견 수렴과 조례 개정 등의 절차를 거쳐 새로운 명칭으로 정비하여 기관의 위상을 강화하고 시민 친화적인 이미지를 제고한다는 방침이다.
이후 교육청, 경찰청, 소방청, 국토교통부 등 외부기관이 관할하는 명칭으로 재정비 범위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며 또한 동인천역과 제물포역 등 주민 생활과 밀접한 교통시설은 충분한 주민 수렴과 관계기관 협의를 통하여 추진한다.
이번 명칭 정비를 통해 실제 지리와 일치하지 않는 명칭으로 인한 시민 혼란을 해소하고 인천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한 지역 정체성을 강화하며 공공기관 이미지 개선과 시민 생활 편의 증진이라는 다각적인 효과가 기대된다.
유정복 시장은 “이번 사업은 단순히 간판을 바꾸는 차원을 넘어 인천의 정체성을 시민 생활 속에서 구현하는 중요한 과정”이라며 “1차 선도 기관을 중심으로 시민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여 공감을 얻는 방식으로 단계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뉴스앤톡. 무단전재-재배포 금지]